Skip to content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Update README.md #3

Merged
merged 1 commit into from
Jan 19, 2025
Merged
Changes from all commits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42 changes: 42 additions & 0 deletions README.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1,4 +1,41 @@
# Read-the-papers

## 논문 리딩 스터디 진행 방식
- 논문의 종류 파악 → Abstract 분석 및 정리 → 논문의 의도 파악 → 1회독 후 요약 및 Reference 분석 → 의문점 및 추가 논의 → 2회독, 3회독 진행

### 1. **논문의 종류 파악**
논문을 읽기 전, 해당 논문의 성격을 먼저 파악하여 접근 방식을 결정.
- **아이디어 중심 논문:** 새로운 개념, 프레임워크, 또는 문제 정의를 제안하는 논문.
- **이론 및 수식 중심 논문:** 수학적 이론, 알고리즘 분석, 또는 복잡도 연구에 초점을 둔 논문.
- **실험 중심 논문:** 실험 결과와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를 보완하거나 새로운 방법론을 검증한 논문.

### 2. **Abstract 분석 및 정리**
- Abstract는 논문의 핵심 메시지가 응축된 부분으로, 논문의 전체 구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 Abstract를 읽고 다음 질문에 답합니다:
- 논문의 주요 목표는 무엇인가?
- 제안된 방법론 또는 기여는 무엇인가?
- 실험 결과 및 결론은 어떤 점을 강조하고 있는가?
- Abstract 내용을 가지고 논문에서 설명하려는것을 한두문장으로 요약합니다.

### 3. **논문의 의도 파악**
논문을 읽으면서 저자가 해결하려는 문제와 기여도를 이해.
- **기존 연구 대비 나아진 점**: 이 논문이 어떤 문제를 어떻게 개선했는가?
- **논문의 승인 이유 추정**: 왜 이 논문이 학계에서 인정받았을까?

### 4. **1회독 후 요약 및 Reference 분석**
- **핵심 요약**: 논문의 주요 메시지와 결과를 간략히 정리.
- **Reference 분석 방법**:
1. **Abstract와 Introduction**: 주요 Reference를 확인.
2. **Problem Statement 섹션**: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파악.
3. **Methods 및 Results**: 핵심 기법 및 비교 연구 기반 Reference 확인.

### 5. **의문점 및 추가 논의**
- 논문에서 해결되지 않은 의문점이나 부족한 부분 검색이나 논의.
- 해당 연구의 응용 가능성과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합니다.
- **실제 문제에 적용 가능성은?**
- **방법론의 확장 또는 개선 방안은?**


<details>
<summary>2023 Summer</summary>

Expand Down Expand Up @@ -26,3 +63,8 @@
|4|Unsupervised Representation Learning with Deep Convolu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https://arxiv.org/abs/1511.06434](https://arxiv.org/abs/1511.06434)|[김건호](https://github.com/secripite)|
|5|A Two-stream Neural Network for Pose-based Hand Gesture Recognition|[https://arxiv.org/abs/2101.08926](https://arxiv.org/abs/2101.08926)|[최담록](https://github.com/secripite)|
</details>